-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소개하는 헬스케어 트렌드volume.41 2023. 12. 5. 20:58
바람이 차게 느껴지는 요즘 또 한 해가 끝나가는 것이 몸소 느껴집니다.
감사한 인연으로 헬스케어디자인 매거진에 참여한지 어언 1년 반이 되어갑니다.
그간 저희 인천가톨릭대학교 헬스케어디자인과 학생들도 칼럼을 작성하면서 헬스케어 분야와 디자인의 분야의 컬럼을 작성하면서 디자인의 견해를 넓힐 수 있었습니다.
칼럼뿐만 아니라 매달 매거진에 한자리를 대표하시는 분들의 인터뷰와 글을 접하면서 많은 배움을 얻고 있습니다. 친구들과 저 모두 내년 졸업작품을 앞두고 다양한 분야 속에서 여러 아이디어들을 얻어 가면서 뜻깊은 경험을 함께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1년간의 기록을 되돌아보며 다양한 경험을 얻었으며 독자 여러분과 노태린 교수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내년에는 더 나은 글과 디자이너의 역량을 기르기 위해 더욱 노력하고 성장하겠습니다.
헬스케어디자인 매거진을 찾는 모든 분들에게 희망찬 시간들이 되기를 기원하며, 다가오는 한 해에도 좋은 컬럼으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인천가톨릭대학교 헬스케어디자인학과 구영인 올림
VOL.29 노인을 위한 도시를 디자인하다
[인천가톨릭대학교 디자인콘텐츠학과] 노인을 위한 도시를 디자인하다.
디자인 트렌드는 계속 변화하고 팬데믹의 영향으로 그 변화의 속도는 빨라졌으며 이제는 미래를 생각하는 디자인이 필수적입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미래의 도시는 어떤 디자인을 추구하고 있
magazine-hd.kr
VOL.30 헬시플레저, 일상 속 즐거운 건강함을 더하다
[인천가톨릭대학교 디자인콘텐츠학과] 헬시플레저, 일상 속 즐거운 건강함을 더하다
헬시플레저란 ‘(Health) 건강 관리가 (Pleasure) 즐거워진다.’라는 의미를 가진 새로 떠오르는 트렌드 키워드입니다. 이전의 건강관리는 힘겹지만 건강한 미래를 위한 도전이었다면 현대에는 운동
magazine-hd.kr
VOL.31 바이오필릭 디자인 컨셉 도입하기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바이오필릭 디자인 컨셉 도입하기
바이오필릭 디자인이란? 생물학자 에드워드 윌슨의 저서 '바이오필리아(Biophilia)'에서 확산된 개념으로, 생명체/자연(Bio)과 사랑/좋아함(Philia) 즉, ‘자연에 대한 사랑’을 뜻합니다. 바이오필릭
magazine-hd.kr
VOL.32 무장애와 유니버설 디자인, 그 차이는?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무장애와 유니버설 디자인, 그 차이는?
무장애(BF)와 유니버설 디자인(UD)은 언뜻 보기에 동일한 디자인처럼 보이지만,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Design for All, 모두를 위한 디자인으로도 불리는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의 유무나 성별,
magazine-hd.kr
VOL.33 더 나은 수면 건강을 이끄는 슬립테크 분야 살펴보기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더 나은 수면 건강을 이끄는 슬립테크 분야 살펴보기
바쁜 일상과 스트레스로 인해 많은 현대인들은 수면장애를 앓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수면장애와 비기질성 수면장애(신체적 원인이 아닌 정신적인 수면장애)로 진료 받은 인원은 2
magazine-hd.kr
VOL.34 이재민들의 도약처, 대피소의 디자인 방향성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이재민들의 도약처, 대피소의 디자인 방향성
재난이란? 유엔 개발 계획에 따르면 재난이란 사회의 기본조직 및 정상 기능을 와해시키는 갑작스러운 사건으로서 재난의 영향을 받는 사회기반시설, 생활 수단의 피해를 일으켜 정상적인 능력
magazine-hd.kr
VOL.35 인간 중심 디자인(HCD)을 위하여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인간 중심 디자인(HCD)을 위하여
인간 중심 디자인이란 무엇일까? 구글에 인간중심 디자인을 검색하면 ‘HCD는 사용자의 특정 니즈를 충족시키고자 설계되는 제품, 서비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위한 디자인 프레임워크다.
magazine-hd.kr
VOL.36 챗GPT가 헬스케어 시장에 미친 영향과 유의점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챗GPT가 헬스케어 시장에 미친 영향과 유의점
챗 GPT의 ‘멘탈케어’ 영향력 과거 정교하지 않던 AI 챗봇 서비스가 ‘챗 GPT’를 통해 급격히 발전하고 있다. 챗 GPT는 뛰어난 정보 전달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간의 감정을 효과적으로 이해한다
magazine-hd.kr
VOL.37 의료산업 뉴패러다임, “의료 로봇”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의료산업 뉴패러다임, “의료 로봇”
최근 모든 기술의 트렌드 중 가장 큰 축을 차지하는 헬스케어,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며 사람의 수명은 증가하고 헬스케어의 중요성과 시장은 계속 커지고 있다. 이러한 니즈에 따라 의료용 로봇
magazine-hd.kr
VOL.38 인구 절반의 건강을 돌보는 ‘펨테크(Femtech)’시장의 잠재력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인구 절반의 건강을 돌보는 ‘펨테크(Femtech)’시장의
‘펨테크(Femtech)’란 여성을 뜻하는 ‘Female’과 기술의 ‘Technology’를 결합한 단어다. 즉, 새로운 기술을 이용하여 여성 건강 관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 및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이
magazine-hd.kr
VOL.39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질 놀이터 디자인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아이들의 안전을 책임질 놀이터 디자인
현재의 대한민국은 아동 인구의 비율이 14%로 저출산 상황이 심각한 나라이다. 그렇기에 저출산으로 벗어나기 위한 국가적 노력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노키즈존’등 아이들을 위
magazine-hd.kr
VOL.40 제약회사의 도약, 디지털 치료제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제약회사의 도약, 디지털 치료제
디지털 치료제는 의학적 장애 혹은 빌병을 예방, 관리, 치료하기 위해 환자에게 근거 기반 치료제 개입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의료기기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 모바일, 메타버스, VR 등 우리 생
magazine-hd.kr
VOL.41 제약회사의 도약, 디지털 치료제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인간과 동물을 위한 펫휴머니제이션 플랫폼, 페스룸
반려동물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은 날로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으로 만들어진 신조어 '펫휴머니제이션'이란 펫(Pet)과 인간화(Humanization)가 합쳐진 단어로, '반려동물을 사람처럼 대하
magazine-hd.kr
'volume.41'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cial Column] 2023 Healthcare Design Conference & Expo 참관기 (0) 2023.12.06 임진우 건축가의 '함께 떠나고 싶은 그곳' (0) 2023.12.05 이현주 병원 마케터가 바라본 짧고 얕은 문화이야기 (0) 2023.12.05 최경숙 간호부장의 노인병원 애상 (0) 2023.12.05 이수경 원장의 행복을 주는 건강 코칭 (0) 2023.12.05 마태호 원장의 책 해방일지 (0) 2023.12.05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0) 2023.12.05 한해를 마무리하며, 박하나 에디터의 글 (0)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