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volume.41 2023. 12. 5. 19:15
몸에 좋고 체중도 줄어든다는 지중해식 요리와 한여름 보양식 염소요리.
그리고 몬안베띠부터 고기리 막국수, 히츠마부시, 기리야마 본진(本陣), 목도 양조장, 감자적 1번지, 이태원 치즈 플로(Cheese flo), 해녀의 부엌, 묘미 妙味 레스토랑 그리고 오늘 소개해드리는 해남천일관까지.
지난 한 해 동안 소개하였던 식당과 음식을 소개하는 글들이 어떠셨는지요?
음식은 아는 맛, 그리운 맛, 그리고 위로하는 맛이 있다고 하는데, 글을 통해 그리움을 느끼거나 위로를 받으신 글이 있었으면 그것으로 만족하고 싶군요.
한해를 알차고 행복하게 보내려면, 새해를 맞이할 때의 ‘초심’을 잊지 말고, 연중에는 ‘열심’히, 그리고 연말에는 ‘뒷심’을 발휘하는, 3심을 가지라고 하지요. 12월 한 달 동안 뒷심을 발휘하여 한해를 잘 마무리하길 바랍니다. 새해는 용띠 해, 특히 청룡의 해라고 하는데, 행운과 행복을 상징한다고 합니다. 여러분들 모두 행복과 행운이 가득한 새해를 맞이 하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몬안베띠
필자의 고향 부산은 겨울에도 그다지 춥지가 않아서, 유년기의 기억 서랍 속에는 눈 내리는 겨울은 거의 없었습니다. 오늘처럼 새벽부터 눈 내리고 갑자기 추워진 겨울날 저녁에는 따끈한 국물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고기리 막국수
‘막국수’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설說 들이 있습니다. 메밀 알갱이와 겉껍질을 분리하지 않고 ‘막’ 섞인 가루로 반죽했다 해서, 또는 반죽 후 바로 면을 뽑아 만드는 국수라고 해서 ‘막국수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지중해식 요리
작년에 후배 교수가 지중해식 식단 식사를 하면 몸에 좋고 체중도 줄어든다고 해서 1주일간 지중해식 식사 연구에 참여한 적이 있다. 생선, 병아리콩, 요거트, 샐러드 등에다가 핵심 식재료인 올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히츠마부시
십여 년 전 학회차 방문한 일본 나고야에서 방문했던 나고야 성(城)과 정원도 추억의 한 페이지를 차지하고 있지만, 기억의 서랍 속에 고이 간직하고 있었던 것은 ‘장어 덮밥(히츠마부시, ひつ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우동의 맛
면식 수행 (麵食 修行)을 하다가 우연히 알게 된 강남역 근처의 기리야마 본진(本陣)을 소개합니다. 윤기가 나는 우동 면은 수타 (手打)로 뽑아내어 면발이 부드럽고 탱탱하였고 자연스럽게 ‘후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목도 양조장을 아시나요?
나이가 들수록 남는 것은 추억과 오래된 벗 (고우, 故友)이라고 하지요. 산야에 파스텔 톤의 산수유 꽃이 어렴풋하게 번져가는 지난 주말에 고우들과 함께 충북 괴산에 소재한 '목도 양조장'을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감자적 1번지
시골길 여기저기에 하얗고 예쁜 감자 꽃들이 수수하게 얼굴을 내미는 5월의 마지막 주말에 지인들과 강원도 강릉을 찾았다. 점심 식사로 선택한 메뉴는 ‘감자 요리’였고, 검색을 해보니, ‘감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For Lovers Only
삼십 년 전 영국 유학 시절에 영어를 유창하게 하고 (Loosen your tongue) 싶으면 와인을 마셔야 한다는 지인의 꾐(?)에 빠져 와인에 입문하게 되었고, 안주로 치즈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당시 알게 된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한여름 보양식
‘보양 (保養)’이란 단어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 보니, 건강을 보전하여 활력을 기른다는 뜻이네요. ‘보양식’은 의학적으로는 별로 근거가 없고 그 효능을 동의할 수는 없지만, 필자에게는 봄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해녀의 부엌
작년 제주 여행 중 공연과 다이닝을 접목한 ‘해녀의 부엌’을 TV뉴스에서 우연히 알게 되었고 여행 기간 중에는 이미 만석이어서 다음을 기약했는데, 운 좋게(?) 예약이 되어 이번 여행에서 방
magazine-hd.kr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묘미 妙味 레스토랑
창덕궁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아라리오 건물 5층에 자리한 묘미 妙味 레스토랑은 미슐랭 1스타의 한식 파인 다이닝이다. 안내받아 자리에 앉으면 음식을 먹기 전부터 양쪽 창으로 내려다 보이는
magazine-hd.kr
화려한 색의 수입 꽃보다는 수수한 야생화를 좋아하는 필자는 깔끔하고 세련된 일식 혹은 기름지고 화려한(?) 중식과 달리 정갈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음식은 한식이라고 생각한다.
지난 주 지인들과 함께 찾은 식당은 반포동 뒷골목에 자리 잡은 백 년 노포 ‘해남 천일관’이다. 입구 탁자 위에 진열한 흑백 사진들로 3대째 한식 요리의 노하우를 이어오고 있는 식당임을 자랑하고 있다. ‘좋은 맛은 좋은 식재료에서 나온다’는 말이 있듯 메뉴판에 원산지가 대부분 남도의 신선한 식재료를 사용했다고 명기되어 있다.
식전 먹거리로 낙화생, 고구마와 함께 나온 순천만 대갱이는 비린내가 없고 고소하다. 짱뚱어와 함께 청정 순천만 뻘 속을 휘젓고 다녀서 인지 기름기가 적고 담백하다. 남해 갈치 실치 무침은 갈치 새끼를 3일 동안 구웠다 말렸다 반복 후 무쳤다고 하는데, 적당한 양념에 씹는 맛이 있어서 함께 나온 해남 막걸리 안주로 딱이다.
남도에서는 ‘홍어 빠진 잔치는 아무리 잘 차렸어도 먹을 것 없는 잔치’라고 한다는데, 톡 쏘는 강렬한 암모니아 향 때문에 홍어를 그다지 즐기지 않는 필자를 배려(?)해서 인지, 덜 삭힌 홍어와 돼지고기 수육, 그리고 묵은 김치의 삼합에 젓가락이 자주 간다. 신선한 홍어 애는 푸아그라 맛이 난다. 한우 육전과 갈비살을 양념 없이 잇고 뭉쳐서 참숯에 구워 낸 한우 떡 갈비살로 이미 포만감을 느끼는데, 초대형 목포 먹갈치 통구이가 나온다. 살은 탱탱하고 부드럽다.식사 반찬으로 나온 12첩상의 김치, 나물, 젓갈에는 남도의 따뜻한 햇볕, 흙, 해풍이 녹아들어 있고, 시간과 정성을 절여 만든 반찬들이다. 기계적 제조 과정을 거치지 않고 자연과 직접 교감하며 빚어지는 맛의 질감을 느끼게 하였던 해남 천일관 밥상 덕분에 지인들과 행복한 저녁을 보냈다.
글. 박효진 강남세브란스병원 교수
'volume.41'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cial Column] 2023 Healthcare Design Conference & Expo 참관기 (0) 2023.12.06 임진우 건축가의 '함께 떠나고 싶은 그곳' (0) 2023.12.05 이현주 병원 마케터가 바라본 짧고 얕은 문화이야기 (0) 2023.12.05 최경숙 간호부장의 노인병원 애상 (0) 2023.12.05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소개하는 헬스케어 트렌드 (0) 2023.12.05 이수경 원장의 행복을 주는 건강 코칭 (0) 2023.12.05 마태호 원장의 책 해방일지 (0) 2023.12.05 한해를 마무리하며, 박하나 에디터의 글 (0)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