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volume.41 2023. 12. 6. 15:23
올해 하반기부터 HD매거진 필진으로 활동하면서 칼럼이라는 새로운 도전으로 의미 있는 한 해를 보냈습니다.
생각과 경험을 나누는 일에 동참하게 자리를 마련해 주신 발행자에게 감사를 전합니다.
칼럼을 쓰면서부터 스스로 달라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마치 일기를 쓰는 초등학생의 다짐들처럼 칼럼을 마음에 새기고 있습니다.
새해에는 생각을 나누고 실천을 불러일으키는 칼럼을 독자와 함께 나누기 위해서 고민하는 칼럼리스트가 되겠습니다.
VOL.34 ‘디지털치료제’ 아니에요 ‘디지털치료기기’
[양재혁 실장의 디지털 헬스케어] ‘디지털치료제’ 아니에요 ‘디지털치료기기’
디지털 도구들이 환자를 치료하는 시대가 도래했다. 대표적인 것이 디지털치료제(Digital therapeutics)와 전자약(Electroceutical)이다. 두 가지의 공통점이 있다. 첫째, 의료기기라는 점, 둘째 의료환경
magazine-hd.kr
VOL.35 환자에게 신약이란?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환자에게 신약이란?
필자는 ‘혁신신약살롱 - 오송’과 혁신신약살롱 ‘동탄광교’에서 마담역할을 하고 있다. 2012년에 대전에 처음 만들어진 ‘혁신신약살롱’의 지역 모임들로서 페이스북 기반의 신약개발에 관
magazine-hd.kr
VOL.36 이종욱 팰로우쉽으로 시작한 해외의료진 연수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이종욱 팰로우쉽으로 시작한 해외의료진 연수
이종욱 팰로우쉽 프로그램은 국제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을 지낸 이종욱 선생님을 기리는 해외의료진 연수프로그램이다. 이종욱 사무총장님이 돌아가신 다음 해인 2007년도부터 시작이 되었다.
magazine-hd.kr
VOL.37 타지키스탄과의 인연을 또 다른 협력의 발판으로[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타지키스탄과의 인연을 또 다른 협력의 발판으로
타지키스탄은 1991년 소련 해체로 독립한 중앙아시아의 인구 천만 명의 국가다. 인종은 페르시아계 타지크인들이다. 페르시아계 나라인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세나라는 말로 하는 언
magazine-hd.kr
VOL.38 CMO와 CDMO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CMO와 CDMO
지난 7월12일부터 14일까지 코엑스에서는 Bio Plus & InterPhex Korea 2003이라는 행사가 진행되었다. 바이오산업을 주제로 한 다양한 전시회, 컨퍼런스, 파트너링 행사들이 마련되었는데 우리나라에 처
magazine-hd.kr
VOL.39 오픈이노베이션이 중요한 이유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오픈이노베이션이 중요한 이유
지난 9월 13일에는 중국 제약기업을 초청해서 바이오 혁신 세미나를 개최했다. 한국교통대학교 정밀의료/의료기기사업단(단장 박성준)과 충북창조경제혁신센터 주최로 베스티안병원 주관으로
magazine-hd.kr
VOL.40 디지털 권리장전과 병원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디지털 권리장전과 병원
지난 9월2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했다. 정확한 이름은 ‘디지털 공동번영사회의 가치와 원칙에 관한 헌장’이다. 약어로 ‘디지털 권리장전’으로 이름을 지었
magazine-hd.kr
글. (재)베스티안재단 양재혁 실장
'volume.4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인간과 동물을 위한 펫휴머니제이션 플랫폼, 페스룸 (0) 2023.12.12 [Special Column] 2023 HCD Conference & Expo 동향 (0) 2023.12.06 발행인의 글 (0) 2023.12.06 [Special Column] 2023 Healthcare Design Conference & Expo 참관기 (0) 2023.12.06 임진우 건축가의 '함께 떠나고 싶은 그곳' (0) 2023.12.05 이현주 병원 마케터가 바라본 짧고 얕은 문화이야기 (0) 2023.12.05 최경숙 간호부장의 노인병원 애상 (0) 2023.12.05 인천가톨릭대학교 바이오헬스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소개하는 헬스케어 트렌드 (0) 2023.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