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경 원장의 행복을 주는 건강 코칭] 나는 괜찮은 사람이 아니다volume.52 2024. 11. 4. 17:22
우리는 일상 속에서 자주 "괜찮다"라는 말을 쉽게 내뱉곤 합니다. 누군가 실수를 했을 때, 예상과 다른 결과가 나왔을 때, 스스로에게 조금 덜 엄격하고자 할 때, "괜찮다"라는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한 위로가 됩니다. 하지만 이 "괜찮다"라는 말이 자주 사용되는 만큼, 그 이면에는 중요한 진실이 감춰져 있을지도 모릅니다. 과연 우리가 스스로 괜찮다고 여길 때, 정말로 괜찮은 상태일까요?
'괜찮다'라는 말속에는 무관심과 안일함 그리고 대충의 의미가 깃들어 있습니다. 더 나아가 포기하는 습관이 되기도 하죠. 이래도 괜찮고, 저래도 괜찮다며 무심코 넘겨버리는 습관은 우리의 삶 자체가 대충대충이 되어버리도록 지대한 영향을 미칩니다. 나의 현재 상태가 괜찮지 않다고 인식해야만, 변화와 성장이 시작됩니다. 그렇지 않고 내가 괜찮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자리에 머물러버리고 말 것입니다. 그러니, 저는 제 자신에게 단호하게 말하고 싶습니다. "나는 괜찮은 사람이 아니다.“
변화하는 사람이 살아남는 법입니다. 생물학에서 흔히 말하는 적자생존은 변화와 진화를 의미하죠. 이를 인간 개개인에게 적용한다면, 변화하는 사람만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잘 살아갈 수 있음을 뜻합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변화하려 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들은 변화하기를 두려워하고, 저항합니다. 이는 복잡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 사회에서 적응하지 못하게 하며, 나아가 삶의 질을 떨어뜨립니다. 왜 사람들은 변화하지 않으려 할까요?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무지와 게으름이죠.
1. 무지論 - 깨닫는 것이 시작이다
우리는 태어날 때부터 모든 것을 알고 태어나지 않습니다. 지식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적되는 것이며, 이는 끊임없는 학습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학습은 단순히 정보를 습득하는 것을 넘어 행동의 변화,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습관의 형성으로 이어집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현재 지식에 만족하여 더 이상의 학습을 거부하고 살아갑니다. 10대나 20대에 습득한 지식만으로 평생을 살아가려는 태도는 현대 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는 한 마디로 무지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뜻입니다. ‘거리의 사상가’로 불리는 일본의 철학자이자 작가인 우치다 타츠루 선생은 <푸코, 바르트, 레비스트로스, 라캉 쉽게 읽기>라는 책에서 “무지는 사람을 정체되게 만든다. 무지라고 하는 것은 단순히 지식의 결여를 가리키는 말이 아닙니다. "알고 싶지 않다"라는 마음가짐을 갖고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가 바로 무지입니다. 무지는 "나태의 결과"가 아니라 "근면의 성과"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무지가 근면한 노력의 성과라니 놀라운 통찰 아닌가요.
2. 게으름論 - 인간은 본질적으로 게으르다
인간은 원래 게으른 동물입니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에너지를 보존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본능적으로 쉬고 싶어 하고, 편안함을 추구하는 동물이죠. 이는 신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래서 수많은 발명품과 기술들이 생겨났죠. 물론, 이러한 발명 덕분에 우리의 삶은 편리해졌고, 효율성이 높아진 것은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우리는 점점 더 게으름에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이 경향은 더욱 뚜렷해집니다. 게으름은 우리를 퇴행하게 만듭니다. 발전이 없는 삶은 결국 나태함을 낳게 되고, 점점 더 무기력해집니다.
‘나는 괜찮지 않다’라는 자기 인식이 변화의 시작입니다. 변화를 위해서는 우선 내가 괜찮지 않다는 인식을 가져야 합니다. 괜찮지 않다는 인식은 우리를 겸허하게 만들고, 새로운 것을 배우려는 동기부여가 되죠. 괜찮지 않다는 생각이 들면, 타인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들의 행동을 통해 나를 반성하게 됩니다. 이때 우리는 변화하고 성장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내가 괜찮다고 생각하는 순간부터 우리는 배움을 멈추고, 행동을 멈추게 됩니다.
저는 이러한 인식을 회사 경영, 대인관계, 자기계발에는 물론 결혼 생활 특히 부부싸움에서도 적용하곤 합니다. 원래 남편과 아내는 본질적으로 또 태생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결혼 초기에는 아내가 이해되지 않는 상황이 참 많았고 그래서 다투었던 적이 많습니다. 그러나 30년이 넘은 지금은 아내가 이해되지 않는 상황이 오면 ‘그럴 수도 있겠다. 내가 틀렸을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나는 괜찮은 사람이 아니니까요. 그러면 더 이상 싸움이 확산되지 않습니다. 이와 같이 삶의 모든 영역에서 ‘나는 괜찮지 않다’라는 자기 인식은 큰 영향력을 발휘합니다.
그래서 저는 삶을 이렇게 정의하고 싶어요. “깨닫고, 배우고, 실천하고, 변화하는 것이 바로 인생이다.” 이 네 가지 과정을 통해 우리는 성장합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나는 괜찮은 사람이 아니다"라는 자각입니다.
결론적으로, "나는 괜찮은 사람이 아니다"라는 생각은 자신을 비하하거나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는 자신의 한계를 인정하고, 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입니다. 우리가 '괜찮지 않다'라고 생각할 때, 우리는 더 배우고, 더 노력하며, 더 성장합니다. 우리는 모두 스스로를 괜찮다고 여기며, 때로는 자신을 위로해야 할 때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에도 스스로에게 진지하게 물어야 합니다. 정말로 나는 괜찮은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는 순간이야말로 진정한 변화의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괜찮음'에 안주하지 말고, 끊임없이 자신을 되돌아보며 발전의 기회를 찾아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진정한 의미의 '괜찮은 사람'이 되는 길입니다. 우리 모두가 '괜찮지 않은 사람'이 되어 더 괜찮은 자신, 더 괜찮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여정에 동참하기를 바랍니다.
가정행복코치, 시나리오 플래너
이수경 Dream
이수경 원장
기업 경영자이자 가정행복코치이며 시나리오 플래너.
직장생활을 28년간 했고, 그 후 기업 경영자로 16년째 살아오면서 저술, 강의, 방송 출연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자기경영, 가정경영, 일터경영의 세 마리 토끼를 찾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에코테인먼트코리아(주) 부회장, 가정행복코칭센터 원장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 인생의 각본을 써라」, 「차라리 혼자 살 걸 그랬어」, 「이럴 거면 나랑 왜 결혼했어」가 있다.
이메일 : yesoksk@gmail.com'volume.52' 카테고리의 다른 글
40년간 환자들에게 인정받은 호산여성병원 (상) (0) 2024.11.04 [Special Column] 코펜하겐 어린이 병원_ 3XN의 BørneRiget (0) 2024.11.04 [INVITATION] 신체와 기술의 총체적 포옹 (0) 2024.11.04 [편집장 FOCUS] KHF 2024-Ⅱ (0) 2024.11.04 [헬스케어 트렌드] perplexity.ai (0) 2024.11.04 [양재혁의 바이오Talk 헬스Talk] 카메룬에서 날라온 병원장 이야기 (0) 2024.11.04 [BOOK 신간 소개] 고교생 오타니 쇼헤이의 최강 멘탈 수업 (0) 2024.11.04 [최길수 작가의 이달의 힐링 아트] 별밤가족 (0) 2024.1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