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ecial Column] 세대 간의 정서적 교류와 프라이버시가 존중된 시니어 주택ARTICLE 2025. 8. 4. 18:24
세대 간의 정서적 교류와 프라이버시가 존중된 시니어 주택
Senior ShelterSeniorShelter_i29_01 이번 프로젝트는 시니어들을 위한 주택으로, 마치 숲속에 그림을 그려 넣은 듯 아름답게 설계되어 있다. 시니어를 위한 주거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부분은 ‘편안함’과 ‘안전함’이다. 나이가 들면 들수록 신체 기능이 저하되기 때문에 예전처럼 몸과 마음, 생각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다. 이에 시니어를 위한 주택은 심신의 안정과 편안함, 그리고 안전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노인들은 반드시 돌봄이 필요하기에, 주변에 가족이 있으면 신체 기능과 회복에 많은 도움이 된다. 그런 점에서 이번 프로젝트는 자연 속 안식처와 같은 주거지에 세대 간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면서 가까이 지낼 수 있는 주택으로, 정서적인 코지함(cozy)이 접목된 시니어 주택 설계의 참신함이 돋보인다.
글. 박하나
설계 및 인테리어 제공_i29 architects (www.i29.nl)
구조 엔지니어_Vissers & Vissers
사진_Ewout Huibers
SeniorShelter_i29_33 SeniorShelter_i29_03 SeniorShelter_i29_27 SeniorShelter_i29_28 SeniorShelter_i29_32 i29 architects는 올해 5월, 시니어 거주자를 위한 단층짜리 두 번째 주택을 설계했다. 100m² 규모의 집은 기존 주거지의 부지 규모와 맥락을 존중하며 신중하게 증축됐다. 본채와 부속 주택이 자연스럽게 연결된 이곳은, 세대 간의 프라이버시를 존중하면서도 긴밀하게 연결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완공 이후 조부모는 손녀, 손주들과 가까이 지낼 수 있어 모두의 만족감을 끌어냈다. 그만큼 이번 프로젝트는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이 하나의 유기적인 주거 공간에 독특하게 통합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새집은 단층으로 지어졌으며, 따뜻하고 개방감이 느껴지는 공간이다. 북쪽에는 침실과 욕실이 정갈하게 배치되어 있어 한층 분위기가 고요하다. 중앙 파티오를 둘러싼 큰 슬라이딩 도어는 탁 트인 시야와 쾌적하고 개방적인 느낌을 선사한다. 파티오는 주방, 다이닝룸, 거실을 자연스럽게 실내로 확장하며 야외 공간으로 연결한다. 특히 완전히 접히는 세 개의 슬라이딩 도어는 안과 밖을 유동적으로 연결하는 데, 서쪽의 슬라이딩 패널의 경우 아늑한 분위기와 함께 프라이버시를 온전히 유지하게 한다.
SeniorShelter_i29_08 SeniorShelter_i29_12 SeniorShelter_i29_15 SeniorShelter_i29_17 SeniorShelter_i29_21 SeniorShelter_i29_22 이 집은 전체 화이트 컬러와 우드의 조화로 차분하면서도 자신감 있는 분위기를 풍겨낸다. 왁스 마감 목재 외관은 샌드위치 패널로 제작된 현대적인 지붕을 지탱하며, 미니멀한 빗물받이가 통합되어 있다. 지붕은 건물 외벽까지 확장되어, 차폐된 통로를 만들고 내부의 공간감을 더욱 강조해 준다. 이로 인해 실내에서는 노출된 지붕이 공간감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집의 기능과 주변 녹지를 하나로 통합시킨다.
실내는 밝은 회색 콘크리트 바닥, 밝은 오크 벽, 그리고 흰색 페인트로 칠해진 서까래 천장이 특징이며, 고요하고 모던한 분위기를 조성한다. 또한 오크 벽 클래딩이 지붕을 시각적으로 지지하는 동시에 공간 전체를 감싸며 높은 천장을 더욱 돋보이게 한다. 맞춤 제작된 캐비닛과 주방은 동일한 수평선을 따라 설계되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다. 외벽은 맞춤 제작된 내부 요소와 시각적으로 조화를 이루어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을 매끄럽게 연결한다.
SeniorShelter_i29_05 SeniorShelter_i29_14 i29는 이 독립 시니어 레지던스를 통해 다세대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컴팩트한 생활 방식이 품질, 편안함, 공간의 풍부함을 유지하거나 오히려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 결과 이 집은 단순함, 명료함, 그리고 인간 중심의 크기를 바탕으로 정의되는 미래지향적인 공간을 만들어냈다고 볼 수 있다.
SeniorShelter_i29_31 SeniorShelter_i29_30 728x90'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니켄세케이의 장애아동 생활 공간 이야기] 제4회 스태프와 공간 인식을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 4-1 (3) 2025.08.05 [의사가 들려주는 병원경영 이야기] 병원이 힐링의 장소가 될 수 있을까 • 스페인의 샤 웰니스 클리닉 호텔 (5) 2025.08.05 [송창민 푸드애널리스트의 건강한 맛집] 진지아 (5) 2025.08.04 [편집장 FOCUS] 건축공간연구원×한국도시재생학회-지역 활성화를 위한 학술교류 릴레이 세미나 (5) 2025.08.04 [ISSUE]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견학회 (6) 2025.08.04 [INVITATION] 빛, 광학, 색채의 조화로 디자인 감수성을 깨우는 치유환경 (1) 2025.08.04 [헬스케어트렌드 / ESG] 삼성이 만들어가는 진짜 디지털 헬스케어의 미래 (4) 2025.08.04 [Amy Han의 젊은 의사 시리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김효현 교수님 (1) 2025.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