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상기록] 더탑재활의학과의원volume.19 2022. 2. 7. 22:14
- 위치 : 서울 강남구 개포동 1239-17, 3F
- 면적 : 97평
- 설계 및 시공 : 노태린앤어소시에이츠
더탑재활의학과 의원은 전적으로 환자 중심의 공간으로 디자인됐다. 특히 병원 위치상 양재 시민의 숲이 있어 대기 공간에서는 큰 창으로 확 트인 전망을 볼 수 있다. 창가에는 둥근 테이블과 안락한 의자를 놓아 카페 같은 분위기가 연출됐다. 대기 공간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편안함과 온화함이다. 바닥은 원목의 컬러감으로 띠를 두르고 벽면을 따라 제작한 붙박이 좌석 겸 소파 역시 브라운 계열의 짙은 컬러가 적용되었다. 또 한 벽지는 짙은 그린을 선택해 마치 나무 아래, 안락한 쉼이 되게 한 점이 돋보인다. 중앙에는 블루, 그린, 오렌지 톤의 스툴을 놓아 알록달록한 분위기마저 더해준다.
대기 공간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평안함과 온화함이다. 바닥은 원목의 컬러감으로 띠를 두르고 벽면을 따라 제작한 붙박이 좌석 겸 소파 역시 브라운 계열의 짙은 컬러가 적용되었다. 또한 벽지는 짙은 그린을 선택해 마치 나무 아래, 안락한 쉼이 되게 한 점이 돋보인다. 중앙에는 블루, 그린, 오렌지 톤의 스툴을 놓아 알록달록한 분위기마저 더해준다. 또한 공간마다 크고 작은 창으로 채광을 유입하고 외부의 풍광을 바라보게 했다. 이로 인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이 벽에 비추면 또 다른 시각적인 분위기가 느껴진다.
노태린 대표는 “환자가 병원을 예약하고 오려면 하루의 절반이라는 시간이 필요하다. 도수치료만 해도 2~3시간이 걸린다. 그만큼 하루의 절반을 병원이라는 공간 속에 보내게 되는 것이다. 하루 삶에 있어 환자들에게 최선의 공간을 만들어 주고 싶었다. 쾌적한 환경에서 오래 머물고 싶은 공간을 만들고자 컬러 스펙트럼을 넓혀주는 데 주력했다”라고 설명했다.
프로젝트에서 또 한 가지 특징은 다양한 액자나 그림, 식물을 곳곳에 배치해 자연의 친밀감을 높인 점이다. 환자들은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자연의 친밀감으로 마음까지 치유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노태린 대표는 “헬스케어 공간에서 빠지지 말아야 할 요소는 빛, 소리, 색, 공기, 이미지(액자나 그림 배치), 자연(식물 배치)이다. 이와 함께 인체공학적인 가구와 최적화된 동선으로 이상적인 헬스케어 공간을 연출할 수 있다. 특히 위의 요소는 큰 비용을 요구하지 않는다. 비싼 자재가 아닌 벽지와 시트, 기성 소품만으로도 최상의 가성비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다”라고 전했다.
접수 및 수납 카운터 나무 아래 휴식을 취하는 듯 안락한 대기공간 대기공간에는 짙은 그린의 벽면 컬러와 브라운 계열의 붙박이 좌석을 두었다. 내부 곳곳 그림이나 액자, 식물 포인트로 자연의 친밀감을 주었다. 그레이 컬러로 편안한 분위기를 주는 진찰실 시원한 블루컬러로 쾌적함이 느껴지는 운동치료실 숲 전망으로 편안함을 주는 도수치료실 'volume.19'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하이브리드로 병원의 가치를 새롭게 재정립하다 / 민트병원(상) (0) 2022.03.02 지속가능한 병원을 추구하다 / 민트병원 (하) (0) 2022.03.02 [이수경 원장의 행복을 주는 건강 코칭] 건강에 지름길은 없다 (0) 2022.02.08 [최경숙 간호부장의 노인병원 애상] 나이 든다는 것은 (0) 2022.02.08 [노태린의 헬스케어 이야기] 멋진 공간이 환자를 머물게 하지 않는다. (0) 2022.02.07 발행인의 편지 (0) 2022.02.07 Rigshospitalet Hospital North Wing (0) 2022.02.05 민트병원 / Minimally Invasive Nonsurgical Treatment (0) 2022.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