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VITATION] 자극 없이 편안한, 편두통 환자 중심의 맞춤형 디자인ARTICLE 2025. 2. 4. 08:46
자극 없이 편안한, 편두통 환자 중심의 맞춤형 디자인
MIGRE Migraine Treatment Centerhanczarstudio가 설계한 폴란드 브로츠와프의 MIGRE 편두통 치료 센터의 내부는 환자 친화적인 공간으로 디자인되었으며, 편두통 발작 중 불편함을 악화시키고 자극이 없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 공간의 최종 디자인은 유행하는 트렌드가 아닌 환자들의 필요에 의해 결정되었다. 이러한 접근은 환자들이 보다 편안하게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것이다. 특히 전체 조명과 색상, 내부 음향, 사용된 재료 하나까지 자극이 없는 편안한 요소를 적용해 환자 중심의 최적화된 맞춤형 공간 디자인이 돋보인다.
글_박하나
디자인 및 제공_Szymon Hanczar, Przemysław Słowik (hanczarstudio)
사진_Zasoby.Studio
편두통은 심한 맥박이 뛰는 일측 두통과 함께 메스꺼움, 빛 공포증, 소리 공포증을 동반하는 신경계 질환이다. 그 발생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소인, 다양한 환경적 요인, 그리고 자극에 대한 뇌의 민감도 증가가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특히 편두통 환자의 약 90%가 여성으로 추정된다.
디자이너 Szymon Hanczar는 “편두통의 특성과 환자 집단의 요구는 쇼핑 경험과 비교했을 때 매우 특수하기 때문에, 실제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 설문조사나 연구가 아닌, 이 질환 치료의 전문가로부터 얻은 정보를 적용했다. 그는 인테리어 디자인에서 주의해야 할 점과 환자의 웰빙을 촉진하는 요소, 그리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 요소에 대해 우리에게 알려주었다”라고 설명했다.
빛을 줄이다
편두통 환자들은 종종 광선에 민감한 증상인 광과민증을 경험한다. 집에서는 황혼 무렵에 발작을 경험하기도 하는데, 이는 때때로 가족 구성원에게 귀찮은 일이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MIGRE 디자인 팀은 환자들의 편안함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직접적인 빛(가시광선)의 사용을 최소화했으며, 간접적이고 부드러운 조명을 최대한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조명의 강도를 낮추었는데, 이는 일반적인 기준과는 다소 상충하는 부분이지만, 환자의 편안함을 우선시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센터의 일상적인 운영에서는 모든 상부 조명 소스를 포함했지만, 실제로는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프로젝트에는 편의점 진열대 조명으로 사용되는 할로겐 조명이 포함되어 있지만, 이는 편두통 환자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선택이다. 대신, 반사된 빛을 이용한 부드러운 조명으로 대신했다. 조명 시스템의 마지막 요소는 수직 블라인드를 통해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요소도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조명 설계는 편두통 환자들이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치료받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볼 수 있다.
편안한 공간
전체 공간은 편안함을 주기 위해 설계되었으며, 강한 그림자나 날카로운 경계가 없는 조명으로 디자인되었다. 또한, 생생한 색상이나 대비가 강한 색상이 없어 편두통 환자들에게도 적합한 환경을 제공한다. 특히 따뜻하게 부서진 흰색, 모래색, 베이지, 밝은 갈색과 같은 부드러운 색조가 주를 이루며, 제한된 색상 팔레트와 벽면 장식의 수직 리듬이 시각적인 평온함을 제공한다.
디자이너 Szymon Hanczar는 “우리는 이 공간이 의료 시설이 아닌 미용실, 스파, 마사지 샵과 같은 편안한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또한, 주로 여성 고객을 고려하여 은은한 꽃 모티프의 로고로 디자인되었는데, 이는 Wojtek J. Piotrowski가 디자인한 은행나무 잎에서 영감을 받았다”라고 전했다. 이어 디자이너는 “로고의 기원은 뇌와 척수의 연결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환자의 편안함을 위한 세 번째 우려 사항은 내부 음향이었다. 해당 건물은 조용한 동네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에 도로가 없기 때문에 극단적인 방음 조치를 피하고, 내부에 집중할 수 있었다. 전체 천장은 음향 패널로 마감되어 있어 잔향이 없고, 소음 감소를 보장한다. 벽면 마감재 또한 방음 효과를 지원하며, 수직 블라인드와 화분도 그 효과를 더해주었다. 이러한 모든 요소가 결합되어 기대되는 음향적 편안함을 제공한다.
실용적이고 위생적인
시각적인 부분으로는, 의료 시설과의 연관성을 피하면서도 실용적이고 위생적인 디자인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이를 위해 세척 가능한 표면이 사용되었으며, 바닥에는 이음새가 없이 균일한 효과를 주는 PVC 카펫이 적용되었다. 대기실의 벤치 또한 세척이 가능한 하드 요소와 탈부착이 가능한 패브릭 요소로 구성되었다. 특히 이 프로젝트가 팬데믹 초기 몇 주 동안 진행되었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비말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한 카운터탑도 개발되고 있다.
이 편두통 치료 센터의 가구는 소파, 책상, 사무용 의자(여기서는 직원의 편안함을 고려하여 HAG 인체 공학적 의자를 사용)를 제외하고 대부분 hanczarstudio에서 디자인하고 맞춤 제작했다. 특히 대기실의 벽면 장식이 인상적이며, 이는 접수 공간과 뒤쪽의 책장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져 형태와 세부 사항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맞춤형 디자인 가구 덕분에 클리닉의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었으며, 110m²의 면적에 5개의 사무실, 대기실이 있는 홀, 두 개의 화장실 및 커뮤니티 공간이 포함되어 있다.
디자이너 Szymon Hanczar는 “우리는 항상 시대에 구애받지 않는 인테리어를 창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구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더 오래되고 쓸모없게 만드는 소위 ‘유행’을 타는 요소들을 피하고, 환자들의 특정 요구에 집중함으로써 현재의 미적 트렌드의 영향을 벗어날 수 있었다. 우리는 색상, 재료, 형태 및 조명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환자들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디자인한 이번 경험이 매우 만족스러웠다”라고 강조했다.
'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고령 사회에 관절재생치료 발전시켜 나가는 연세사랑병원 (하) (0) 2025.02.04 연구중심병원의 미래를 선도할 연세사랑병원 (상) (0) 2025.02.04 [NEWS] 2024년 신경건축학연구회 심포지엄 (0) 2025.02.04 [Special Column] 환자와 직원 모두의 존엄을 지키고 존중하는 치유 건축 (0) 2025.02.04 [EXHIBITION] 케이이치 타나아미 특별전 (0) 2025.02.04 [편집장 FOCUS] 2025년 보건의료 정책방향 (0) 2025.02.04 [ISSUE] 생성형 AI,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 (0) 2025.02.04 [의사가 들려주는 병원경영 이야기] 정신병원은 꼭 폐쇄적이어야 하는가 (0)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