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응급의료기관의 정의와 현황volume.07 2021. 1. 28. 18:59
응급의료기관이란 의료기관 중에서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정된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 응급의료센터, 전문응급의료센터, 지역응급의료센터 및 지역 응급의료기관을 말한다(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2조 제5호). 응급의료기관은 종류에 따라 어떤 업무를 보는지, 전국에 몇 개의 응급의료기관이 있는지 알아보자.
응급의료기관의 종류는 중앙응급의료센터, 권역 응급의료센터, 응급의료지원센터, 응급의료센터, 외상센터, 지역 응급의료기관으로 나누어진다. 응급의료센터나 외상센터는 지정 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전문응급의료센터 또는 권역외상센터 (보건복지부 장관 지정), 지역응급의료센터 또는 지역 외상센터 (시·도지사 지정)로 나뉜다.
도표 1 - 응급의료기관의 종류 (출처. 찾기쉬운 생활법령 정보) 그렇다면 우리나라에는 응급의료기관이 얼마나 있을까?
통계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우리나라에는 총 521개의 응급기관이 있다. 종류별 수는 권역 응급의료센터 38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124개소, 지역 응급의료기관 240개소 그리고 응급의료기관 외의 응급실 운영기관은 119개소가 운영되고 있다. 지역별로는 세종에는 아직 권역 응급의료센터가 없으며 응급의료기관의 수도 2개소로 가장 적은 수를 가지고 있다. 전남의 경우 총 50개의 응급의료기관을 가지고 있으며, 인구 백만 명당 응급의료기관 수로는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표 2 - 지역별 응급의료기관 수 (출처. 2019년 응급의료통계연보) 내 주변에 있는 응급실이 이용 가능한지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국립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제작한 응급의료 포털 'e-gen'에 들어가면 내 주변에 위치한 응급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종합상황판 페이지에서는 지정한 위치의 반경에 있는 응급의료기관에 실시간으로 병상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응급의료기관은 매년 보건복지부의 주관 아래 평가를 받는다. 각 기관이 응급의료기관의 법정 기준을 준수하는지 운영 현황과 기능의 적절함을 평가해서 응급의료의 질적 수준을 재고한다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응급의료기관 평가 결과는 중앙응급의료센터 홈페이지 (www.e-gen.or.kr/nemc/main.do)에 공개되므로 일반인들도 확인해 볼 수 있다.
그림 1 - 응급의료포털 내 종합상황판 페이지 (출처 : https://www.e-gen.or.kr/egen/main.do) 'volume.07'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행인의 글 (0) 2021.02.01 [박효진 교수의 맛있는 집] 아내의 생일 저녁 (0) 2021.01.30 [임진우 건축가와 '함께 떠나고 싶은 그곳'] 제주도 1편 (0) 2021.01.30 아산충무병원 (interviewee. 권준덕 행정원장) (0) 2021.01.30 [이혜진 대표의 파인다이닝] 데이터 사이언티스트가 된 내과 전문의 유승찬 (0) 2021.01.30 지역사회 통합 돌봄이란? (0) 2021.01.28 Fiona Stanley Hospital (0) 2021.01.28 Meander Medical Center (0) 2021.0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