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수경 원장의 행복을 주는 건강 코칭] 매일 조금씩 아플래? 어느 날 왕창 아플래?ARTICLE 2025. 5. 4. 17:20
평소 운동 즐겨하시나요?
아니면 ‘난 아직 젊은데 뭐... 특별히 아픈데도 없고, 나중에 나이 들어서 하면 되지’라고 생각하면서 숨쉬기 운동만 하시나요?
운동을 꾸준히 하거나 미루는 순간순간의 선택들이 모여 우리 건강의 큰 그림을 그립니다. 오늘은 '작은 통증'과 '큰 아픔' 사이에서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야 할지, 함께 이야기 나눠볼게요.
매일 조금씩 아픈 건 나쁜 게 아니에요
운동을 시작하면 근육이 쑤시고, 관절이 불편하고, 때로는 작은 부상이 생기기도 하죠. "이렇게 아픈데 계속해도 괜찮을까?" “괜히 운동한 거 아니야?“ 하는 의문이 들 수 있어요. 저만 봐도 주 4회 이상 새벽운동을 생활화하다 보니 거의 매일 이런저런 통증을 달고 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에요.
운동을 하면 다소간의 통증은 피할 수 없어요. 가슴 운동을 하면 다음 날 가슴 근육이 아프고, 스쿼트를 하면 허벅지가 뻐근하죠. 하지만 그 불편함은 하루 이틀이면 가라앉아요. 그 통증은 며칠 뒤 사라지며, 대신 탄탄한 근육이 그 자리를 채우죠. 몸의 불균형도 점차 해소되고, 자세는 곧게 펴지며, 체중과 혈압도 안정화됩니다.
이런 작은 통증들은 사실 우리 몸이 보내는 건강한 신호랍니다. 운동 후 느끼는 근육통은 우리 몸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는 증거예요. 이 작은 근육 손상이 회복되면서 우리 몸은 더 강해지고, 더 효율적으로 바뀌어 갑니다. 오히려 운동한 다음 날 통증을 안 느끼면 내가 운동량이 부족했다는 걸 자각하게 돼요.
운동 과학자들도 이걸 확인했어요. 운동으로 인한 적당한 근육 미세손상은 실제로 근육이 더 강해지는 과정의 일부라고 해요. 조금 아프지만, 그 과정을 통해 우리 몸은 점점 더 건강해진답니다.
편안함만 찾다 보면 나중에 더 크게 아파요
반면, 운동을 전혀 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당장은 편안함을 느끼고 통증에서 자유로울 수 있죠. 하지만 이 편안함은 사실 환상일 뿐이에요.
“나는 통증도 없고, 건강에도 문제없어.”
그렇게 말하던 중년의 제 후배는 어느 날 계단을 오르다 쓰러졌답니다. 진단은 심근경색. 다행히 목숨은 건졌지만, 이후의 삶은 약물과 재활치료의 연속이었죠. 이런 사건은 ‘하루에 갑자기’ 일어나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은 ‘수십 년 간의 무관심’이 쌓인 결과죠. 운동을 하지 않으면 근육이 빠지고, 관절이 약해지고, 심폐 기능이 저하됩니다. 그러나 그 변화는 서서히, 조용히 진행되기 때문에 대부분 자각하지 못해요. 그러나 확실하게 우리 몸은 '큰 고장'을 준비하게 됩니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크게 아픈 날’을 맞는 거죠. 운동하지 않은 대가는 언젠가는 몸이 스스로 청구서를 내미는데, 문제는 그 청구서가 종종 너무 가혹하다는 데 있어요.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운동 부족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500만 명의 조기 사망과 관련이 있다고 해요. 운동 부족이 심장 질환 위험을 높이고, 당뇨병 발생 가능성도 크게 늘린다는 연구 결과도 있답니다.
꾸준한 운동의 놀라운 효과
반면 운동의 효과는 정말 놀랍습니다. 일주일에 2시간 30분만 중강도로 운동해도 (하루 30분씩 주 5회 정도) 사망 위험이 14%나 줄어든다고 해요.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조기 사망 위험이 30%까지 감소한다는 대규모 연구 결과도 있답니다. 게다가 운동은 무려 26가지나 되는 만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해요. 더 놀라운 것은 운동이 우리 DNA에도 좋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 규칙적인 운동은 세포 노화를 늦추는 데 도움을 준다는 증거도 있어요.
운동은 약과 같다
매일 조금씩 느끼는 건강한 불편함을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편안함을 추구하다 결국 더 큰 아픔을 경험할 것인가? 선택은 여러분 몫이에요.
세계보건기구(WHO)는 "운동은 약과 같다"라고 이야기해요. 적절한 방법으로 꾸준히 하면 효과가 있고, 일시적인 불편함이 있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는 거죠.
오늘부터, 작은 통증을 두려워하지 말고 건강한 삶을 위한 투자로 받아들여 보는 건 어떨까요? Bravo your life!
가정행복코치, 시나리오 플래너
이수경 Dream
이수경 원장
기업 경영자이자 가정행복코치이며 시나리오 플래너.
직장생활을 28년간 했고, 그 후 기업 경영자로 16년째 살아오면서 저술, 강의, 방송 출연을 통해 많은 사람에게 자기경영, 가정경영, 일터경영의 세 마리 토끼를 찾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현재 가정행복코칭센터 원장으로 왕성한 활동을 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자기 인생의 각본을 써라」, 「차라리 혼자 살 걸 그랬어」, 「이럴 거면 나랑 왜 결혼했어」가 있다.
이메일 : yesoksk@gmail.com'ARTI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성과 진심으로 환자의 마음을 돌보는 자인플러스병원 (상) (0) 2025.05.07 발행인의 글 (1) 2025.05.07 [송창민 푸드애널리스트의 건강한 맛집] 황금콩밭 (3) 2025.05.04 [헬스케어트렌드 / AI웰니스] LLM 기반 건강 모니터링과 멘탈 헬스 혁신 사례 (4) 2025.05.04 [해안건축 신용호의 시니어 미디어] 실버스테이가 국내 실버타운 시장에 미칠 긍정적, 부정적 요인 분석 (2) 2025.05.04 [최길수 작가의 이달의 힐링아트] 오늘도 긍정이면 내일은 행복 (1) 2025.05.04 [BOOK 신간소개] 실버 웨이브 (0) 2025.05.04 청두의 GAGGNAU & NEXT125 체험 매장 (0) 2023.03.04